
📉 더본코리아, 왜 욕먹고 있을까? 백종원 브랜드의 진실을 파헤쳐보다
2024년 상장 후 많은 주목을 받았던 더본코리아.
하지만 주가는 하락세, 여론도 악화되고 있습니다.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요?
프랜차이즈 비즈니스 모델, 투자 구조, 브랜드 전략까지 재무적 관점에서 전문가 이재용 회계사가 날카롭게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,
지속 가능한 기업이 되기 위해 더본코리아가 고민해야 할 지점들을 짚어봅니다. 🔍
💼 프랜차이즈 구조의 명과 암
더본코리아는 25개 브랜드, 약 3천 개의 가맹점, 그리고 국내 최대 프랜차이즈 기업 중 하나입니다.
대표 브랜드인 빽다방, 홍콩반점, 한신포차, 새마을식당 등은 우리 일상에 익숙하지만,
그만큼 폐점률도 높습니다.
3년간 출점 1,600개, 폐점 580개
하락 브랜드 17개 (출점보다 폐점이 많은 브랜드 수)
이 수치는 프랜차이즈 본사의 단기 전략 위주 사업이 오히려 점주들에게 리스크를 전가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.
📊 주가 하락의 원인? 숫자만 보면 잘 벌고 있다
더본코리아의 재무제표만 보면 문제 없어 보입니다.
- 매출액: 4,600억
- 영업이익: 360억
- 시가총액: 약 4,300억
- 현금보유액: 무려 2,400억
하지만 문제는 미래에 대한 투자 부재입니다.
- 유형자산(공장, 설비 등)은 오히려 감소
- 현금 비중은 자산의 65%
- 시설 투자 적음, 실질적 내재가치 성장에는 소극적
회사가 벌어들인 수익을 **어디에 쓰고 있는가?**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주죠.
🤔 더본코리아의 리스크는 ‘브랜드 중심 구조’
회사의 실질 매출 중 제품 매출의 대부분이 외주 생산에 의존하고 있습니다.
- 자체 생산 비중 낮음
- 소스 공장 가동률 102% (과부하)
- 직영점은 14개뿐 → 교육, 품질 관리 어려움
이는 프랜차이즈 본사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표준화 및 품질 유지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.
게다가 백종원 대표 개인 브랜드에 의존하는 마케팅 구조는 브랜드 리스크를 키우는 요소이기도 합니다.
☕ 빽다방만으로 지속 가능한가?
전체 매장의 56%가 빽다방,
즉 더본코리아는 사실상 커피 회사에 가까운 포트폴리오를 갖고 있습니다.
하지만 경쟁 브랜드인 컴포즈커피, 메가커피와 비교했을 때 특출난 경쟁력은 부족하다는 평가도 나오죠.
“브랜드는 많은데, 하나 딱 부러지게 잘하는 게 없다”
— 이재용 회계사
💸 프랜차이즈의 지속가능성 = 가맹점주 케어
프랜차이즈 사업의 본질은 ‘교육사업’이라는 말이 있습니다.
- 점주 교육
- 품질 표준화
- 직영점 모델 운영
이 모든 것이 부족하면 결국 브랜드 신뢰도가 하락하고, 신규 가맹점 유치는 힘들어집니다.
더본코리아는 지금까지 “빨리 많이 열기” 전략을 펼쳤지만,
앞으로는 “천천히 오래 가기” 전략이 필요합니다.
🧠 장사와 사업의 차이
이재용 회계사는 더본코리아를 ‘장사의 냄새’가 나는 기업으로 표현했습니다.
- 장사: 단기 수익, 개인 브랜드 의존, 현금 중심
- 사업: 장기 전략, 내재 가치 투자, 조직 중심
상장 기업이라면 이제는 ‘사업’이 되어야 한다는 게 핵심 메시지입니다.
✍️ 마무리하며: ‘프랜차이즈’가 오래 가려면?
- 가맹점주의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구조 필요
- 자체 생산 설비 투자 확대
- 직영점 확대를 통한 표준 모델 구축
- 브랜드 의존에서 벗어나, 제품 경쟁력 확보
- 현금 보유보다는 적극적인 재투자 전략 수립
지금 더본코리아는 전환점에 서 있습니다.
마케팅의 성공은 입증됐지만, 기업으로서의 지속 가능성은 아직 갈 길이 멉니다.
이제는 ‘백종원’이라는 이름이 아닌, 제품과 시스템으로 말해야 할 시점입니다.
'ANDTAX의 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🧨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, 현실과 드라마 ‘서울의 봄’은 뭐가 다를까? (2) | 2025.04.06 |
---|---|
[2024헌나8]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 요지 정리 ⚖️ (0) | 2025.04.04 |
🔥 산불 피해 기부, 지금 우리가 행동해야 할 때입니다 (0) | 2025.03.29 |
⚽ FC 서울 대 대구 FC 경기 리뷰! 2024 시즌 K리그 빅매치 분석 (2) | 2025.03.29 |
위믹스(WEMIX) 해킹 피해 후 100억 원 규모 코인 시장 매수 결정 🚀🔥 (2) | 2025.03.16 |